Basic Research - Cancer(구연) (NP-001)

신세포암 세포주(Caki-1)에서 Clear cell induction 및 Metformin에 의한 Mitochondria 활성이 mTOR inhibitor에 의한 세포 고사 효과를 증대시킨다
¹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교실, 비뇨의과학연구소, ²Brain Korea 21 PLUS project for medical science, Yonsei university, ³국립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비뇨기과, ⁴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교실
김숙영¹, 나준채¹, 허준혁¹², 홍성준¹², 이형호³, 윤영은⁴, 한웅규¹²
목적: 신세포암 세포주에서 clear cell induction(CCI) 및 AMPK를 활성화 유도물질로 잘 알려진 Metformin을 투여했을 때 기존의 신세포암 치료제인 mTOR inhibitor의 효과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Caki-1 세포에 metformin을 농도 별로 투여하여 독성 정도를 CCK-8 assay로 시행했다. CCI시에 나타나는 특징인 mitochondria의 증가가 metformin 투여 시에도 나타나는지 보기 위해 mitochondrial protein 인 Voltage-dependent anion channel (VDAC) 의 발현을 Western blotting으로 확인 하였다. Metformin이 약물감수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 보기 위해 mTOR inhibitor인 Temsilolimus와 병행 투여한 후 독성 정도를 CCK-8 assay로 시행했다. 결과: Caki-1 세포는 CCI 유도 시에 Temsilolimus 농도별 약 20% 이상 독성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Fig-1A). Caki-1 세포내의 mitochondrial protein인 VDAC과 COX-IV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mitochondria의 중요 regulator인 PGC-1a의 증가 및 이의 up-stream인 phospho-AMPK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다(Fig-1B). 세포주에 Metformin을 농도 별(1, 10 mM, Fig-2)로 투여 했을 때에 적정농도를 찾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후에 같은 농도로 5일 동안 metformin 을 처리하였을 때 CCI와 같이 mitochondrial protein 인 VDAC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됨을 확인하였다(Fig-3A). 이러한 변화는 Temsilolimus와 metformin을 동시 투여 했을 때, CCI처럼 약물감수성을 증가시켰다(Fig-3B). 결론: 본 연구는 CCI 및 Metformin에 의한 mitochondria활성을 증가 시키는 기전을 제시하였고 이에 따른 약제의 감수성을 증대 시키는 효과를 입증하였다.
keywords : renal cell carcinoma, metformin, mitochondria

프린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