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ontinence & Female Urology & Neurourology(구연) (NP-009)

절박성요실금을 과민성방광 환자에서 방광 내 보톡스 주입술의 치료 실패와 관련된 인자의 분석
비뇨의학과교실
한지연, 백승룡, 송원훈, 이승수, 남종길, 정재민, 박성우, 이상돈
목적: 약물 치료에 효과적이지 않은 절박성요실금을 동반한 과민성방광 환자에서 방광 내 보톡스 주입술 후 치료 실패와 관련된 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2015년 7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최소 3개월간의 약물 치료에 불응한 절박성요실금을 동반한 과민성방광증상으로 방광 내 보톡스 100단위 주입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술 전 3일간의 배뇨일지, 과민성방광증상 설문지 및 요역동학검사를 시행하였으며 남성의 경우 술 전 요역동학검사에서 방광출구폐색 소견이 없는 경우에 수술을 시행하였다. 술 전 치료의 실패는 수술 3개월 째 환자가 과민성방광 증상에 대한 추가 치료를 원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치료 반응군과 실패군으로 나누어 치료 전 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들은 총 30명이었으며 이 중 10명은 남성, 20명은 여성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65.2±11.6(29-82)세이었다.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 중 9명 (30%)에서 치료 3개월 째 술 후 증상에 대해 추가 치료를 원하였으며 치료 반응군과 실패군간 환자들의 나이, 성별, 과민성방광증상 설문지 점수 및 배뇨일지 인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치료 실패군에서 요역동학 검사에서 배뇨근과활동성이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66.7% vs. 14.3%, p=0.008) 최대방광용적이 더 작았다 (300.0±106.7ml vs. 408.7±100.3, p=0.030).
결론: 약물 치료에 불응한 절박성요실금을 동반한 과민성방광증상 환자에서 방광 내 보톡스 100단위 주입술 이후 수술 3개월 째 환자들의 30%에서 추가 치료를 원하였으며 술 전 요역동학 검사 인자인 배뇨근과활동성 유무와 최대방광용적이 치료 실패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였다. 이에 과민성방광 환자에서 술 전 요역동학 검사 시행은 수술 성적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keywords : failure, onabotulinum toxin, overactive bladder

프린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