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I-10
근치적 전립선적출술 후 방광요도문합 부위의 요누출에 대한 검사 방법으로서 컴퓨터 단층촬영을 이용한 방광조영술의 유용성
국립암센터 비뇨기종양클리닉, 진단방사선과¹
한경석, 조강수, 정재영, 서호경, 정진수, 최혁재¹, 정대철¹, 이강현

목적: 근치적 전립선적출술 후 방광요도문합 부위의 요누출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단순 방광조영술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 정확도에 대해서는 검증된 바가 없다. 이에 컴퓨터 단층촬영 (CT)을 이용한 방광조영술을 시행하여 전립선적출술 후 요누출에 대한 단순 방광조영술의 정확도를 알아보고 CT를 이용한 방광조영술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2008년 7월까지 근치적 전립선적출술을 시행 받은 1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환자들은 술 후 7일째 배뇨관을 통해 1:1로 희석된 조영제를 주입하여 단순 방광조영술을 시행 받았으며, 이후 1:6으로 희석된 조영제를 주입한 후 비조영증강 CT를 시행 받았다. 요누출의 정도는 누출의 양상과 양에 따라 경도 , 중등도, 광범위 요누출로 분류되었다. CT 방광조영술의 결과를 기준으로 하여 단순 방광조영술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율, 음성예측율, 정확도를 구하여 보았다.
결과: CT 방광조영술에서는 100명 중 30명 (30%)에서 요누출이 확인되었다. 30명 중 9명 (30%)은 중등도 요누출이었으며 21명 (70%)은 경도의 요누출이었다. 반면, 단순 방광조영술에서는 100명 중 10명 (10%)에서만 요누출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한편, CT에서 중등도 요누출을 보인 9명의 경우, 단순 방광조영술에서는 5명만이 중등도 요누출로 분류되었고, 2명은 경도로 저분류되었으며, 2명은 요누출이 확인되지 않았다. CT에서 경도 요누출을 보인 21명의 경우, 단순 방광조영술에서는 4명이 경도 요누출로 분류되었으며 나머지 17명은 요누출이 확인되지 않았다. CT를 기준으로 했을 때 요누출의 진단에 대한 단순 방광조영술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율, 음성예측율, 정확도는 각각 30% (95% CI: 13.6-46.4), 100% (95% CI: 100-100), 100% (95% CI:100-100), 76.9% (95% CI: 68.2-85.6), 79%였다.
결론: 단순 방광조영술은 근치적 전립선적출술 후 방광요도문합 부위에서 발생하는 요누출을 확인하는 검사방법으로서는 정확도가 떨어지며 요누출의 정도를 정확하게 평가하지 못한다. 근치적 전립선전출술 후 방광조영술 시행 여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으나, 방광요도문합부의 요누출을 확인해야 하는 경우 검사방법으로서 단순 방광조영술보다 CT를 이용한 방광조영술이 추천된다.
keywords : 근치적 전립선적출술, 방광요도문합, 방광조영술